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 설정
객체를 업로드할 때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지정하지 않는 경우 Amazon S3는 범용 버킷의 객체에 기본 Amazon S3 Standard 스토리지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Amazon S3 콘솔, AWS SDK 또는 AWS Command Line Interface(AWS CLI)를 사용하여 Amazon S3 범용 버킷에 이미 저장된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다른 스토리지 클래스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접근 방식은 Amazon S3 API 작업을 사용하여 Amazon S3에 요청을 전송합니다.
참고
디렉터리 버킷에 저장된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하나의 버킷에 S3 수명 주기 구성을 추가하면 Amazon S3가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객체 수명 주기 관리 단원을 참조하십시오.
S3 복제 구성을 설정할 때 복제된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다른 스토리지 클래스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S3 Glacier Flexible Retrieval 또는 S3 Glacier Deep Archive 스토리지 클래스에 저장된 객체는 복제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복제 구성 파일 요소 단원을 참조하십시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스토리지 클래스를 설정할 때는 스토리지 클래스의 값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스토리지 클래스의 콘솔 이름과 해당 API 값의 목록입니다.
Reduced Redundancy Storage –
REDUCED_REDUNDANCY
S3 Express One Zone –
EXPRESS_ONEZONE
S3 Glacier Deep Archive –
DEEP_ARCHIVE
S3 Glacier Flexible Retrieval –
GLACIER
S3 Glacier Instant Retrieval –
GLACIER_IR
S3 Intelligent-Tiering –
INTELLIGENT_TIERING
S3 One Zone-IA –
ONEZONE_IA
S3 Standard –
STANDARD
S3 Standard-IA –
STANDARD_IA
새 객체에 대한 스토리지 클래스 설정
객체를 업로드할 때 스토리지 클래스를 설정하려면 다음 메서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콘솔에서 새 객체를 업로드할 때 스토리지 클래스를 설정하려면: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한 후 https://console.aws.amazon.com/s3/
에서 Amazon S3 콘솔을 엽니다. 왼쪽 탐색 창에서 범용 버킷을 선택합니다.
버킷 목록에서 폴더 또는 파일을 업로드할 버킷 이름을 선택합니다.
업로드를 선택합니다.
업로드 창에서 속성을 선택합니다.
스토리지 클래스에서 업로드하려는 파일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선택합니다.
(선택 사항) 업로드하는 파일의 추가 속성을 구성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객체 업로드 섹션을 참조하세요.
업로드 창에서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합니다.
파일 및 폴더를 업로드 창으로 끕니다.
파일 추가 또는 폴더 추가를 선택하고 업로드할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한 후 열기를 선택합니다.
페이지 하단에서 업로드를 선택합니다.
PutObject
, POST Object
Object 및 CreateMultipartUpload
API 작업을 사용하여 객체를 만들 때 x-amz-storage-class
요청 헤더를 추가하여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헤더를 추가하지 않으면 Amazon S3는 기본 S3 Standard(STANDARD
) 스토리지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이 예제 요청은 PutObject
명령을 사용하여 새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S3 Intelligent-Tiering으로 설정합니다.
PUT /my-image.jpg HTTP/1.1 Host:
.s3.
amzn-s3-demo-bucket1
Region
.amazonaws.com Date: Wed, 12 Oct 2009 17:50:00 GMT Authorization: authorization string Content-Type: image/jpeg Content-Length: 11434 Expect: 100-continue x-amz-storage-class: DEEP_ARCHIVE
이 예제에서는 put-object
명령을 사용하여 my_images.tar.bz2
를
스토리지 클래스의 GLACIER
에 업로드합니다.amzn-s3-demo-bucket1
aws s3api put-object --bucket
--key
amzn-s3-demo-bucket1
dir-1/my_images.tar.bz2
--storage-classGLACIER
--bodymy_images.tar.bz2
객체 크기가 5GB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스토리지 클래스를 설정합니다.
aws s3 cp
large_test_file
s3://
--storage-classamzn-s3-demo-bucket1
GLACIER
기존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 변경
객체를 업로드할 때 스토리지 클래스를 설정하려면 다음 메서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객체 크기가 5GB 미만인 경우 Amazon S3 콘솔을 사용하여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더 큰 경우 S3 수명 주기 구성을 추가하여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콘솔에서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하려면: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한 후 https://console.aws.amazon.com/s3/
에서 Amazon S3 콘솔을 엽니다. -
왼쪽 탐색 창에서 범용 버킷을 선택합니다.
버킷 목록에서 변경할 객체가 들어 있는 버킷 이름을 선택합니다.
-
변경할 객체의 이름 왼쪽에 있는 확인란을 선택합니다.
-
작업 메뉴에 표시되는 옵션 목록에서 스토리지 클래스 편집을 선택합니다.
-
객체에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클래스 중에서 선택합니다.
-
추가 복사 설정에서 소스 설정 복사, 설정 지정 안 함 또는 설정 지정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합니다. 소스 설정 복사가 기본 옵션입니다. 소스 설정 속성 없이 객체만 복사하려면 설정 지정 안 함을 선택합니다. 스토리지 클래스, ACL, 객체 태그, 메타데이터, 서버 측 암호화 및 추가 체크섬에 대한 설정을 지정하려면 설정 지정을 선택합니다.
-
오른쪽 하단 모서리에서 변경 사항 저장을 선택합니다. Amazon S3는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기존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하려면 다음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이 예제 요청은 PutObject
명령을 사용하여 새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S3 Intelligent-Tiering으로 설정합니다.
PUT /my-image.jpg HTTP/1.1 Host:
.s3.
amzn-s3-demo-bucket1
Region
.amazonaws.com Date: Wed, 12 Oct 2009 17:50:00 GMT Authorization: authorization string Content-Type: image/jpeg Content-Length: 11434 Expect: 100-continue x-amz-storage-class: DEEP_ARCHIVE
이 예시에서는 cp
명령을 사용하여 기존 객체의 스토리지 클래스를 현재 스토리지 클래스에서
스토리지 클래스로 변경합니다.DEEP_ARCHIVE
aws s3 cp
object_S3_URI
object_S3_URI
--storage-classDEEP_ARCHIVE
액세스 정책 권한을 특정 스토리지 클래스로 제한
Amazon S3 작업에 대한 액세스 정책 권한을 부여할 때는 s3:x-amz-storage-class
조건 키를 사용하여 업로드된 객체를 저장할 때 사용할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3:PutObject
권한을 부여하면 객체 업로드를 특정 스토리지 클래스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정책 예제는 예: 특정 스토리지 클래스를 이용한 객체 업로드 제한을 참조하세요.
정책의 조건 및 Amazon S3 조건 키의 전체 목록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주제를 참조하세요.
-
서비스 승인 참조의 Amazon S3에 사용되는 작업, 리소스 및 조건 키
S3 리소스 유형별 S3 API 작업 권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mazon S3 API 작업에 필요한 권한 섹션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