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05-BP03 워크로드 성능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정의
새 서비스, 설계 패턴, 리소스 유형 및 구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인스턴스 오퍼링에서 기존 성능 테스트를 실행하여 워크로드 개선 가능성을 결정합니다.
일반적인 안티 패턴:
-
시간이 지나면 현재 아키텍처가 정적 아키텍처가 되고 업데이트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
시간이 지나면 타당한 지표 없이 아키텍처 변경을 도입합니다.
이 모범 사례 확립의 이점: 아키텍처 변경을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하면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워크로드 설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모범 사례가 확립되지 않을 경우 노출되는 위험 수준: 중간
구현 가이드
워크로드의 성능에는 몇 가지 주요 제약 사항이 있습니다. 워크로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이 어떤 것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이러한 내용을 문서화합니다. 새 서비스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해당 서비스나 기술을 습득할 때 이 정보를 사용하여 제약 조건이나 병목 현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파악합니다.
워크로드에 대한 주요 성능 제약을 파악합니다. 워크로드의 성능 제약을 문서화하면 어떤 종류의 혁신이 워크로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구현 단계
-
KPI 식별: PERF05-BP01 워크로드 상태 및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핵심 성과 지표(KPI) 수립에 설명된 대로 워크로드 성능 KPI를 식별하여 워크로드의 기준을 설정합니다.
-
모니터링 구현: AWS 관찰성 도구를 사용하여 성과 지표를 수집하고 KPI를 측정합니다.
-
분석 수행: 심층 분석을 수행하여 PERF05-BP02 모니터링 솔루션을 사용하여 성능이 가장 중요한 영역 파악에 설명된 대로 워크로드에서 성능이 저조한 영역(예: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코드)을 식별합니다. 분석 및 성능 도구를 사용하여 성능 개선 전략을 식별합니다.
-
개선 사항 검증: 샌드박스 또는 사전 프로덕션 환경을 사용하여 개선 전략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
변경 사항 구현: 프로덕션 환경에서 변경 사항을 구현하고 워크로드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개선 사항을 문서화하고 변경 사항을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합니다.
-
보관 및 개선: 성과 개선 프로세스를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합니다.
리소스
관련 문서:
관련 비디오:
-
AWS re:Invent 2022 - Delivering sustainable, high-performing architectures
-
AWS re:Invent 2023 - Optimize cost and performance and track progress toward mitigation
-
AWS re:Invent 2022 - AWS optimization: Actionable steps for immediate results
-
AWS re:Invent 2022 - Optimize your AWS workloads with best-practice guidance
관련 예제: